초강전기 키카이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초강전기 키카이오는 1998년 출시된 아케이드 대전 격투 게임으로, 2선승제로 진행되며, 각 캐릭터는 고유의 아머 값을 가지고 있다. 빌딩 등의 장애물을 파괴하여 파워업 아이템을 얻어 전투를 유리하게 이끌 수 있으며, 스페셜 게이지를 모아 초필살기를 사용할 수 있다. 각 메카는 자체적인 스토리 모드를 가지며, 선택지 및 승리 조건에 따라 다양한 분기와 결말을 제공한다. 또한, 히어로 챌린지 모드, 드림캐스트판의 매칭 서비스 등 다양한 게임 모드를 지원한다. 게임은 2000년 드림캐스트로 이식되었으며, 그래픽, 격투 시스템, 스토리 모드 등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3D 대전 격투 게임 - 삼국무쌍
삼국무쌍은 코에이 테크모 게임즈에서 개발한 삼국 시대 배경의 1대1 액션 격투 게임으로, 무기 전투와 독특한 방어 시스템, 다양한 시간대 배경, 16명의 플레이어블 캐릭터, 일본 전국 시대 인물 등장 등의 특징을 가지며, 액션과 역사적 배경의 결합, 독특한 시스템으로 호평을 받았으나 배경에 대한 비판도 존재하고 일본과 해외 게임 명칭이 다른 게임이다. - 3D 대전 격투 게임 - 에어가이츠
에어가이츠는 드림팩토리가 개발하고 스퀘어가 배급한 3D 격투 게임으로, 360도 자유로운 움직임과 인터럽트 시스템, 저스트 프레임 시스템, 필살기 게이지를 활용한 전투 메커니즘을 특징으로 하며, 플레이스테이션 버전에는 던전 크롤 형식의 RPG 경험을 제공하는 퀘스트 모드와 《파이널 판타지 VII》 캐릭터 및 노무라 테츠야가 디자인한 오리지널 캐릭터들이 등장한다. - 로봇을 소재로 한 비디오 게임 - 호라이즌 제로 던
《호라이즌 제로 던》은 31세기를 배경으로 로봇 생명체가 지배하는 멸망한 세계에서 사냥꾼 엘로이를 조종하여 기계 짐승과 전투를 벌이고 오픈 월드를 탐험하는 3인칭 액션 RPG이다. - 로봇을 소재로 한 비디오 게임 - 아스트로 봇: 레스큐 미션
아스트로 봇: 레스큐 미션은 듀얼쇼크 4 컨트롤러와 VR을 이용하여 아스트로봇을 조종하며 3D 플랫폼 레벨을 탐험하는 게임으로, 더 플레이룸 VR의 미니 게임 "로봇 레스큐"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이 풀 게임 제작의 계기가 되었다. - 1998년 비디오 게임 - 센티멘탈 그래피티
아버지의 직장 때문에 이사를 자주 다니며 여러 소녀들과 인연을 맺은 고등학생이 정체불명의 편지를 받고 발신인을 찾아 전국을 여행하는 어드벤처 게임인 《센티멘탈 그래피티》는 플레이어가 소녀들과 관계를 발전시키며 호감도와 애절함 수치를 조절하여 다양한 엔딩을 맞이하는 미디어믹스 작품이다. - 1998년 비디오 게임 - 에어가이츠
에어가이츠는 드림팩토리가 개발하고 스퀘어가 배급한 3D 격투 게임으로, 360도 자유로운 움직임과 인터럽트 시스템, 저스트 프레임 시스템, 필살기 게이지를 활용한 전투 메커니즘을 특징으로 하며, 플레이스테이션 버전에는 던전 크롤 형식의 RPG 경험을 제공하는 퀘스트 모드와 《파이널 판타지 VII》 캐릭터 및 노무라 테츠야가 디자인한 오리지널 캐릭터들이 등장한다.
| 초강전기 키카이오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원제 | 초강전기 키카이오 (超鋼戦紀キカイオー) |
| 로마자 표기 | Chōkō Senki Kikaiō |
| 영어 제목 | Tech Romancer |
| 개발사 | 캡콤 |
| 유통사 | 캡콤 버진 인터랙티브 (PAL) |
| 디자이너 | 카와모리 쇼지 (스튜디오 누에) 미야타케 카즈타카 (스튜디오 누에) |
| 작곡가 | 이와이 유키 |
| 장르 | 대전 격투 |
| 모드 | 싱글 플레이어 멀티플레이어 |
| 플랫폼 | 아케이드 드림캐스트 |
| 출시일 | |
| 아케이드 | JP: 1998년 9월 NA: 1998년 11월 |
| 드림캐스트 | JP: 2000년 1월 13일 NA: 2000년 6월 15일 EU: 2000년 7월 7일 JP (매칭 서비스): 2001년 1월 18일 |
| 기술 정보 | |
| 아케이드 시스템 | Sony ZN-2 |
| 디스플레이 | 래스터, 표준 해상도, 수평 |
2. 게임 시스템
대부분의 전투는 건물과 기타 지형지물이 흩어져 있는 평평한 3D 평면에서 진행된다. 지형을 파괴하면 파워업 아이템이 나타나는데, 여기에는 세 가지 무기(캐릭터/메카에 따라 다름), 갑옷 또는 생명 파워업, 그리고 메카의 공격력을 높이고 추가 능력 또는 기술을 잠금 해제할 수 있는 히어로 모드 파워업이 포함된다.[22]
이 게임은 스토리 모드와 히어로 챌린지 모드, 두 가지 모드로 주로 진행된다. 드림캐스트 버전에는 VMU에서 포인트를 얻을 수 있는 미니 게임도 있었다.
경기는 2선승제로 진행되며, 상대방의 체력 게이지를 두 번 비우면 승리한다. 각 전투원은 두 개의 생명 미터를 가지고 있으며, 두 번째 생명 미터가 소진되면 파괴된다. 또한 각 메카는 아머 게이지를 가지는데, 이는 방어력을 나타내며 가드 시 감소한다. 아머 게이지가 완전히 파괴되면 방어력이 대폭 저하되고, 일반 공격을 가드해도 피해를 입게 된다.[22]
각 메카는 최소 두 개의 슈퍼 공격과 함께, 상대방의 두 번째 생명 바가 마지막 50%로 떨어졌을 때 사용할 수 있는 파이널 어택을 가지고 있다. 파이널 어택은 성공하면 즉시 승리하는 필살기이다.
필드 내 빌딩 등의 장애물을 파괴하면 파워업 아이템이 나타날 수 있다. 이 아이템을 누가 획득하느냐에 따라 승패가 크게 좌우되기도 한다. 또한 무한 필드이므로 화면 끝이 존재하지 않아, 궁지에 몰려 일방적으로 쓰러지는 일이 없다.
3. 게임 모드
3. 1. 스토리 모드
각 메카는 자체적인 스토리 모드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각 전투가 에피소드 제목, 아이캐치, 그리고 각 전투 전후의 대화 장면으로 나뉘는 애니메이션 시리즈처럼 진행된다.[24] 각 메카는 자신만의 이야기(자신만의 쇼의 주인공)를 가지고 있으며, 대화 장면에서 내린 결정과 전투 승리 조건에 따라 일부 이야기가 분기되어 여러 경로와 결말을 가질 수 있다.[24] 다른 메카와 캐릭터들도 등장하지만, 그들의 역할은 "주인공" 메카의 이야기에 맞게 실제 기원과는 다를 수 있다.[24]
스토리는 플레이어 캐릭터로 선택 가능한 각 로봇의 이미지를 살린 시나리오가 준비되어 있으며, 같은 로봇이라도 스토리에 따라 설정이나 역할이 변화하고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에,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는 항상 주역 스토리의 설정대로 흘러가지 않는다.[24] 특히 "마법의 나라의 폴린 쨩"의 시나리오에서는 모든 캐릭터가 코믹한 역할로 등장한다.[24] 또한 중간에 선택지나 승리 조건 등에 따른 시나리오 분기가 존재하여, 같은 기체라도 스토리가 달라지는 경우가 있다.[24]3. 2. 히어로 챌린지 모드
"아케이드 스타일" 모드로서, 플레이어는 주요 메카와 보스들을 차례로 격파해 나간다. 게임 내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숨겨진 메카와 파일럿은 히어로 챌린지 모드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드림캐스트 버전에서는 히어로 챌린지 모드와 VMU 미니 게임에서 얻은 점수를 사용하여 보스 캐릭터 및 동영상을 포함한 숨겨진 캐릭터를 구매할 수 있었다.
3. 3. 매칭 서비스 (일본 한정)
드림캐스트 버전은 온라인 대전 기능을 제공하여, "초강전기 키카이오 For Matching Service"라는 이름으로 재출시되었다.[1]
```text
4. 스토리
아득한 미래, 고도로 발전된 기술 덕분에 일본과 전 세계 사람들은 평화롭고 안정된 삶을 누리고 있었다. 그러나 외계 폭군 골디버스(Goldibus)가 충성스러운 추종자들을 이끌고 지구를 침략하면서 평화는 깨지고 만다. 골디버스는 감정 없는 철권 통치로 인류를 노예로 만들고 세계를 정복하려 한다.[24]
이에 맞서 예상치 못한 영웅들이 각자의 독특한 메카 로봇을 이끌고 골디버스의 위협에 맞서 싸우기 위해 뭉쳤다. 이들은 골디버스를 물리치고 위험으로부터 세계를 안전하게 지킬 때까지 멈추지 않을 것이다.
플레이어 캐릭터로 선택 가능한 각 로봇에 따라 다양한 시나리오가 준비되어 있으며, 같은 로봇이라도 설정이나 역할이 달라진다.[24] 특히 "마법의 나라의 폴린 쨩" 시나리오에서는 모든 캐릭터가 코믹한 역할로 등장한다. 또한 중간 선택지나 승리 조건에 따라 이야기가 달라지기도 한다.
4. 1. 주요 등장인물 및 로봇
다음은 주요 등장인물 및 로봇에 대한 내용이다.| 로봇 | 파일럿 | 설명 |
|---|---|---|
| -- | 토도로키 쥰페이 | 토도로키 겐조 박사와 그의 아들 토도로키 마모루가 제작한 무적의 로봇이다.[25] 오리하르콘 합금과 초차원 기관으로 만들어져 매우 튼튼하다.[25] 쥰페이는 후지미 학원에 다니는 16세 고등학생으로, 정의감이 강한 열혈 소년이다.[26] 사오리라는 소꿉친구가 있다. |
| -- | 나카토 팔랜드 또는 하루마 플록하트 | 광선총과 광검, 빔포 장착 무인기 "A-새틀라이트"를 사용하는 리얼 로봇이다. 나카토는 16세의 전 SHTO 군 훈련생이었지만 탈영하여 연합군에 소속된다.[27] 하루마는 배틀 스쿨의 학생인 천재 소녀이다. |
| -- | 섀도 레드 | 딕센의 강화형이다. |
| -- | 카이 또는 케이 | 생체 갑옷으로, 가이난 성인이 만들었다. 카이와 케이는 23세의 지구 방위군 BIT 대원이다. 카이는 기억을 잃었고, 케이는 우주인임을 숨기고 있다. |
| -- | 악의 마음에 눈뜬 카이 | 팔시온의 어두운 형태로, 카이가 악의 마음에 눈을 떴을 때 변신한다. |
| -- | 곤잘레스 부대 | 5인승 보행 전차로, 실탄계 병기를 사용한다. 곤잘레스 부대의 신병 아빈 크로포드 이등병이 주인공이다. |
| -- | 텐쿠 레이카 | 텐쿠 재벌이 제작한 여성형 닌자 로봇이다. 레이카는 17세의 아가씨 학교인 봉황 학원에 다니는 텐쿠 재벌 영애이다. |
| -- | 사이먼 하버드 | 3가지 형태로 변형하는 가변 전투기이다. 사이먼은 엘리트 군인이다. |
| -- | 유메노 다이치와 유메노 소라 | 2기의 전투기가 합체하는 로봇이다. 다이치는 10세, 소라는 11세의 초등학생 남매이다. |
| -- | 포린 | 마법으로 고물에서 만든 로봇이다. 포린은 마법의 나라 디르크룸 출신의 8세 소녀이다.[28] |
| -- | 섀도우 레드 / 굉 수 | 갑옷 무사 같은 외형을 한 진홍색 라이벌 로봇이다. 섀도우 레드는 골디바스 군단의 장군이며, 그 정체는 사고로 죽은 쥰페이의 아버지 굉 수(마모루)이다. |
| 쿼바르 (예르) | 문어나 해파리와 비슷한 모습을 한 이차원 생물이다. 예르는 골디바스에 의해 지구인과 비슷한 모습으로 만들어진 안드로이드이다.[24] | |
| 검다 (알렉심) | 멸망한 고대 왕국 국왕이나 민중의 잔류사념 에너지로 움직이는 거대한 석조 궁전 유적이다.[24] 알렉심은 원한을 남긴 민중의 잔류사념에 의해 부활한 과거 고대 왕국의 왕자이다. | |
| 골디바스 (골디바스) | 고차원에서 온 "악의"가 구체화된 거대한 악의 존재이다.[24] 많은 시나리오에서 최종 보스로 등장한다. | |
| 브로디아 (사오토메 진) | 사이버보츠에서 참전한 드림캐스트판 추가 캐릭터이다. 진은 머플러를 한 21세의 V.A. 파일럿이다.[1] |
4. 1. 1. 기본 기체
キカイオー일본어는 본작의 메인을 장식하는 무변형 로봇이다. 스토리마다 미세한 차이는 있지만, 주로 쥰페이의 아버지 토도로키 마모루(轟 守)와 할아버지 토도로키 겐조(轟 源三) 두 사람이 제작에 관여하고 있다.[25]오리하르콘 합금이라는 매우 단단한 금속과 키카이오의 에너지원인 "초차원 기관"에 의해 물리 법칙이 통하지 않는 공간을 만들어내 더욱 튼튼해졌다. 설정상 초차원 기관에 대한 대항 수단을 갖지 않는 한 키카이오를 파괴할 수 없다.[25] 그렇기 때문에 키카이오가 크게 관여하는 스토리에서는 골디바스 군의 유일한 위협으로 여겨진다.
각종 격투 공격 외에도 팔을 날리는 펀치, 가슴에서 발사하는 열광선, 입에서 발사하는 회오리 등의 무기를 사용한다. 파이널 어택은 등 부분의 윙이 합체 변형된 무기 '패왕검'을 들고 사용하는 "패왕검·패왕뇌명참(패왕뇌명참이라고도 함)"이다.
파일럿인 쥰페이는 사립 후지미 학원에 다니는 16세의 고등학생이다.[26] 사오리라는 소꿉친구가 있다. 정의감이 강한 열혈한으로, 다른 시나리오에서 조역으로 등장하는 경우에도 거의 같은 성격이지만, ボロン일본어 편에서는 ポリン일본어에게 휘둘리고 사오리에게 오해받는 여자 복 없는 "특이점"이라는 역할이면서 ポリン일본어과 마찬가지로 이야기의 중심 인물이다.
; ディクセン일본어 / 형식 번호: FX-004S
파일럿은 ナカト・ファーランド일본어와 ハルマ・フロックハート일본어이다. 무변형 리얼 로봇으로, 광선총과 광검, 3기의 빔포 장착 무인기 "A-새틀라이트" 등을 사용하여 싸운다. 파이널 어택은 "파이널 슈트"이다.
파일럿 중 한 명인 나카토는 16세[27]의 전 SHTO 군 훈련생이었지만, 탈주하여 적군인 연합군 측에 소속된다. 또 한 명의 파일럿인 하루마는 배틀 스쿨의 학생인 천재 소녀이다.
다른 스토리에서 등장하는 딕센은 이름 없는 파일럿 외에는 거의 모두 나카토가 담당하게 된다. 하루마는 ポリン일본어의 분기 루트에서만 등장한다.
; ディクセン일본어 익스페리먼트 / 형식 번호: FX-004EX
파일럿은 섀도 레드이다. ディクセン일본어 편에 적으로 등장하며, 추가 캐릭터로 플레이어도 사용 가능하다(스토리 모드 불가). 컬러링뿐만 아니라, 머리 부분의 디자인이 약간 다르고(카메라가 고글 모양에서 "눈"으로 변경됨), 무기의 사거리나 위력, 점프 등의 기동력이 강화되어 딕센의 상위 호환이 되었다.
일부 시나리오에 적으로 등장하는 일반 병사용 '''ディクセン일본어 양산형'''(DX-001A)은 컬러링이 녹색이고, 전투 중에 파일럿이 표시되지 않는다는 점과 새틀라이트가 없다는 점을 제외하면 통상적인 것과 성능은 같다. 하루마 편에서는 데모에서 라이드가 이 양산형에 탑승하고 있지만, 사용할 수는 없다.
; ファルシオン일본어
파일럿은 カイ일본어와 ケイ일본어이다. 생물과 기계가 융합된 생체 갑옷이며, 가이난 성인이 만들어냈다. 휴대 전화 같은 아이템으로 소환하여 동화하여 조작한다.
"우주 가라테" 등 격투 공격이 메인이지만, 가시가 달린 광륜을 던지거나, 교차된 손에서 광선을 쏘기도 한다. 맹공격에서는 쓰러진 상대를 먹고 있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파이널 어택은 "오버 더 갤럭시"이다. 설정상 이 외에도 동형 또는 유사한 "갑옷"이 존재하며, 팔시온은 명장의 작품으로, 그 중에서도 특히 뛰어난 성능을 가지고 있다.
파일럿인 카이(남성)와 케이(여성)는 모두 23세의 지구 방위군 BIT 대원(등장하는 것은 한쪽만)이다. 다만, 카이는 과거의 기억을 잃고 있지만, 케이는 자신이 우주인임을 스스로 숨기고 지구인으로 살고 있다는 차이가 있다. 스토리 모드는 파일럿이 카이와 케이 어느 쪽이든 기본 설정은 거의 같지만, 분기 시나리오에서 각각 다른 전개가 된다.
다른 시나리오에서는, ツインザムV일본어 편과 ラファーガ일본어 편에서 팔시온 자체가 우주인으로 등장한다(이쪽의 파일럿은 카이지만 얼굴은 나오지 않는다). ボロン일본어 편에서는 케이가 사랑의 전도사로서 쥰페이 앞에 나타난다.
; 다크 팔시온
파일럿은 악의 마음에 눈을 뜬 카이이다. 추가 캐릭터로 사용 가능하며(스토리 모드 불가), 컬러링이 다른 것 외에는 성능은 거의 같다. 스토리 모드에서는 통상의 팔시온에서의 카이 편의 분기 시나리오에서 일시적으로 카이의 기체가 이 모습으로 변화한다. 스토리 모드에서 팔시온에서 일시적으로 변화하는 경우와, 직접 다크 팔시온을 사용한 경우에 로고에 약간의 차이가 있으며, 후자에서는 "팔시온"이라고만 표시된다.
스토리 모드에서의 적 전용기로서 '''섀도 팔시온'''도 등장하지만, 이쪽은 실질적으로 다크 팔시온의 파일럿이 표시되지 않는 판이며(로고도 "팔시온"만), 성능 면도 동일하다.
; ワイズダック일본어 / 형식 번호: GZ-56
파일럿은 곤잘레스 부대이다. 5인승 보행 전차이다. 낙하산 미사일과 지뢰, 클로 등, 리얼 지향의 실탄계 병기를 사용한다. 파이널 어택은 "풀 메탈 헌터"이다. 승리 시의 데모에는 런처에서 불꽃놀이를 쏘아 올리는 패턴도 있다. 유일하게 점프가 불가능하며, 점프 버튼을 누르면 대신 지뢰를 설치한다.
파일럿은 5인 팀의 곤잘레스대이지만, 스토리 모드에서는 곤잘레스대에 보충병으로 배속된 신병인 '''아빈 크로포드''' 이등병이 주인공으로 그려진다. 다른 대원은 대장인 베테랑 군인 '''곤잘레스''' 하사를 시작으로, 안경을 쓴 이론파 조종병 '''토마스''' 병장, 헤드기어를 착용한 난폭한 포병 '''리키''' 일등병, 모자를 쓴 과묵한 통신병 '''헬만''' 상등병이다.
; ワイズダック일본어 오르소로소 / 형식 번호: GX-56R1
파일럿은 섀도 레드이다. 추가 캐릭터로 사용 가능하며(스토리 모드 불가), 대시 이동 등의 기동력이 업 되어 있다. 컬러링은 빨간색이며, 기체 상부에 "뿔"이 추가되어 있다.
; 디아나 17(세븐틴)
파일럿은 天宮レイカ일본어이다. 天宮일본어 재벌 제작의 여성형 닌자 로봇이다. 공격할 때마다 하트 마크가 날아다니거나, 결정 포즈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파이널 어택은 "댄싱 엔젤 레볼루션"이다. 발표 당시 게임 잡지 『게메스트』 등에서는 "17"의 읽기는 "세븐틴"이며 "원 세븐"이 아니라는 주석이 있었다.
파일럿인 레이카는 아가씨 학교인 봉황 학원에 다니는 17세이다. 天宮일본어 재벌 영애로, 평소에는 얌전한 성격이지만, 디아나 17을 탈 때는(게임 중에 주로 보여주는) 늠름하고 격렬한 성격으로 변한다. 다른 시나리오에서도 거의 마찬가지로 "정의의 아군"이라는 입장에서 등장한다. 기본적으로 처음에 레이카 자신의 정체를 숨기고, 로봇의 이름으로 "사람들이 부르기를 미와 정의의 사자, 디아나 17!"이라고 외친다.
팔시온 편에서는, 파일럿은 레이카 그대로지만 스토리 중에 얼굴을 내밀지 않고, 디아나 17 본체가 지구의 수호자 "디아나"로 등장하며, 신비적인 존재로 그려지고 있다.
; ラファーガ일본어 / 형식 번호: YF-37
파일럿은 サイモン・ハーバード일본어이다. 파이터 모드(헬리콥터), 스피너 모드, 솔저 모드의 3가지 형태로 변형하는 가변 전투기이다. 형태에 따라 싸우는 방법이 각각 다르다. 파이널 어택은 "트랜스폼 택틱스"이다.
통상의 파일럿은 엘리트 군인인 사이먼으로 고정되어 있지만, 아케이드판의 스토리 모드에서는 적으로서 통상의 라파가에 암리타가 탑승하는 경우도 있다. 사이먼대의 소속은 기본적으로 SHTO군이지만, 다른 시나리오에서 등장하는 경우에는 나카토와 같은 연합군 취급이 되는 경우도 있다.
; ラファーガ일본어 암리타(암리타 전용기 ラファーガ일본어) / 형식 번호: YF-38A
파일럿은 암리타이다. 드림캐스트판에서 새롭게 추가 캐릭터로 사용 가능하며(스토리 모드 불가), DC판에서는 스토리 모드에서 적으로서 등장하는 암리타의 탑승기도 이것으로 변경되었다. 컬러링이 빨갛게 된 것 외에는 성능은 변하지 않는다.
파일럿인 암리타는 사이먼의 부하로, 그에게 몰래 마음을 품고 있으며, 시나리오 전개에 따라서는 우회적으로 고백하지만 차이고 만다. 또한 ボロン일본어 편에서는 앙갚음을 당하고, ディクセン일본어·나카토 편에서는 전사하는 등, 어느 쪽이든 손해를 보는 역할이다. 드림캐스트판에서는 플레이어 사용 가능한 파일럿 캐릭터가 되었기 때문에, 전용 그래픽과 보이스가 추가되었다.
; ツインザムV일본어
파일럿은 ユメノダイチ일본어와 ユメノソラ일본어이다. 2기의 전투기의 조합에 의해 성능이 변화하는 합체 로봇이다. ツインザム일본어 1(파이어 포메이션)은 거대한 도끼와 열 에너지, ツインザム일본어 2(플라즈마 포메이션)는 거대한 해머와 플라즈마를 두른 양손의 드릴, 미사일을 구사하여 싸운다. 각각의 형태로, 게이지 사용 기술인 "체인지 크로스·트윈잠"을 사용하여 언제든지 이행할 수 있다. 파이널 어택은 "파이어 슬래셔"(파이어 포메이션 시)와 "플라즈마 드릴 임펄스"(플라즈마 포메이션 시)이다. 초기의 설정에서는 3기로 분리·합체할 예정이었지만, 처리가 복잡하기 때문에 보류되었다.
파일럿인 유메노 남매는 남동생인 다이치가 10세, 누나인 소라가 11세의 초등학생이다. 다이치는 장난기가 많아 폭주하기 쉽고, 소라는 꼼꼼하고 남자다운 성격으로 소라는 다이치를 잘 놀린다. 두 사람의 어머니는 이미 고인이다.
; ボロン일본어
파일럿은 ポリン일본어이다. 마법으로 고물에서 만든 로봇으로, 특대 드릴이나 신칸센 등, 근처에서 함부로 가지고 나온 모든 것을 무기로 사용한다. 1게이지 사용으로, 가드 불능의 자폭 기술을 사용할 수도 있다. 파이널 어택의 "두근두근 ボロン일본어 극장"은, 상대마다 리액션이 다르다.
조종자인 포린짱(본명: 포리알룸 드 포린틴)은 마법의 나라 디르크룸 출신의 8세 소녀이다.[28] 황당무계하고 순진하며, 사랑의 파워로 무모함을 밀고 나가는 성격으로 주변에 패닉을 뿌린다. 마법으로 일시적으로 17세 어른의 모습으로 변신할 수도 있다. 프로그램명은 유일하게 기체가 아닌 파일럿 이름이 되어 있다. 다른 시나리오에서는 골디바스 군단의 앞잡이로 등장하는 경우가 많다.
4. 1. 2. 보스
; 굉뢰(고우라이) / 『마령장군 굉뢰』:; 파일럿: 섀도우 레드 / 굉 수(토도로키 마모루)
: 성우 - 이케다 슈이치
: 진홍색 라이벌 로봇으로, 갑옷 무사 같은 외형을 하고 있다. 파이널 어택은 "명계진"이다. 적 캐릭터로 등장하지만, 추가 캐릭터로도 사용 가능하다. 아케이드판에서는 스토리 모드가 없었지만, 드림캐스트판에서는 스토리 모드가 새롭게 제공되었다.[24]
: 파일럿인 섀도우 레드는 시나리오에 따라 크게 두 가지 설정이 있다. 키카이오 및 드림캐스트판 굉뢰 스토리에서는 골디바스 군단의 장군이며, 그 정체는 사고로 죽은 굉 준페이의 아버지 굉 수(마모루)이다. 키카이오 편에서는 골디바스에게 세뇌되어 있으며, 전개에 따라서는 주인공에게 쓰러지면서 정신을 되찾는다. 굉뢰 편에서는 골디바스를 따르는 척하며 복수의 기회를 엿보고 있다는 차이가 있다.
; 쿼바르 / 『이차원 생명체 쿼바르』
:; 파일럿: 예르
: 성우 - 타카모리 요시노
: 문어나 해파리와 비슷한 모습을 한 수수께끼의 이차원 생물. 가드를 할 수 없다. 적 전용 기체이며, 플레이어가 사용할 수 없다.[24]
: 이 생물을 조종하는 예르는 골디바스에 의해 지구인과 비슷한 모습으로 만들어진 안드로이드이다. 평소에는 침착한 표정이지만, 쿼바르를 조종할 때는 눈을 부릅뜬 무서운 형상이 된다.[24]
: 라파가 편에서는 사이먼 곁에 있는 개체 외에 여러 동형기가 존재한다는 설정이다.[24]
: 딕센 나카토 편에서는 인간이라는 설정으로, 나카토의 훈련소 시절 동급생이었지만, SHTO군 자객으로 적대한다.[24]
; 검다 / 『거인궁전 검다』
:; 파일럿: 알렉심
: 성우 - 게임판 나카오 류세이, 드라마 앨범판 타케모토 에이지
: 멸망한 고대 왕국 국왕이나 민중의 잔류사념 에너지로 움직이는 거대한 석조 궁전 유적. 중간 보스로, 스토리 중에 자주 등장한다. 공격력이나 아머 브레이크력은 높지만, 가드를 할 수 없다. 적 전용 기체이며, 플레이어가 사용할 수 없다.[24]
: 이 유적을 움직이는 알렉심은 원한을 남긴 민중의 잔류사념에 의해 부활한 과거 고대 왕국의 왕자이다. 왕국 부활을 골디바스에게 약속받고 충성을 맹세하지만, 목적이 달성되면 골디바스를 쓰러뜨리고 자신이 지배자 지위에 오르려 한다. 다만, 그의 계략이 게임 중 시나리오로 그려지지는 않는다. 라운드를 잃었을 때 대사가 드림캐스트판에서는 모두 변경되었다.[24]
: 키카이오 편에서만 특정 루트에서 최종 보스로 등장한다. 딕센 나카토 편에서는 통상과 달리 SHTO군 소속 예르가 조종하는 탑승기(전투 보이스는 일절 발하지 않음)가 되어 있다.[24]
; 골디바스 / 『마신대제 골디바스』
:; 파일럿: 골디바스
: 성우 - 오오츠카 치카오
: 고차원에서 온 "악의"가 구체화된 거대한 악의 존재. 적 전용 기체이며, 플레이어가 사용할 수 없다.[24]
: 기체 자체가 의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파일럿도 골디바스 자신이다. 한 번 쓰러지면 최종 형태로 변신하여, 붉은 날개가 돋아난 칠흑의 몸에 흉부가 거대한 괴수 머리가 되어, 공격도 변신 전보다 훨씬 강력해진다.[24]
: 많은 시나리오에서 최종 보스로 등장하며, 시나리오에 따라서는 악의 조직 "'''골디바스 군단'''"을 결성하고 있으며, 앞서 언급한 보스 기체 3체나 보론 등이 속해 있는 경우가 있다. 딕센 하루마 편에서는 자동 기계군 여왕 유닛, 와이즈덕 편에서는 인류에게 심판을 내리려는 수수께끼 존재, 보론 편에서는 포린의 부모로 그냥 부부 싸움이거나 하는 등, 각 시나리오 세계관에 맞춰 다른 설정이 붙어 있는 경우도 있다.[24]
: 스태프에 따르면 슈팅 게임 보스를 이미지해서 만들어진 캐릭터인 듯하다.[24]
: 골디바스 성능은 물론, 한 번 쓰러지면 최종 형태로 변신하여 연전이라는 사정상, 플레이어는 초기 형태・최종 형태 양쪽에서 골디바스의 라이프를 깎아내지 않으면 승리한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표준 설정인 2선승의 경우, 총 4번 승리할 필요가 있다). 게다가, 최종 형태로 변신한 후 플레이어 측 라이프와 라운드 선취는 리셋되지 않기 때문에, 매우 힘든 싸움이 된다(아머 값은 완전 회복&파이널 어택 재사용 가능).[24]
4. 1. 3. 게스트
사이버보츠에서 참전한 드림캐스트판 추가 캐릭터. 파일럿은 早乙女 仁|사오토메 진일본어 (성우: 우에다 유지)이다. 브로디아는 해당 작품에 등장하는 버리언트 아머(V.A.)의 하나이며, 본작에 등장하는 것은 그 커스텀 버전이다. 원래 아케이드판에는 등장하지 않았으나, 드림캐스트판에서 추가되었다. 스토리 모드는 없고, 챌린지 모드와 대전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파이널 어택은 "브레이크 샤프트"이다.[1]진은 머플러를 한 21세의 V.A. 파일럿으로, MARVEL VS. CAPCOM에 등장했을 때와 같은 성우가 담당했으며, 성격도 비슷하다. 결정 대사인 "우주의 어딘가에서, 다시 만나자!"도 수록되어 있다.[1]
5. 평가
드림캐스트판 《초강전기 키카이오》는 대체로 좋은 평가를 받았다.[9] 일본의 게임 잡지 《패미통》은 40점 만점에 29점을 부여했는데,[9] 이는 '실버 어워드' 편집자 선택에서 단 1점 모자란 점수였다.
여러 게임 매체에서 드림캐스트판 《초강전기 키카이오》에 대해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
《게임스팟》의 제임스 미엘케는 "훌륭한 그래픽과 탄탄한 격투의 조화"라고 칭찬하며, 《죠죠의 기묘한 모험》, 《스트리트 파이터 III》, 《플라즈마 소드: 나이트메어 오브 빌슈타인》을 합친 것보다 더 오래 즐길 수 있다고 평가했다.[14] 《IGN》의 아눕 간타야트는 파워 스톤 스타일의 보상 시스템과 여러 엔딩이 있는 스토리 모드를 언급하며, "격투 게임 중 최고의 싱글 플레이어 모드"를 갖췄다고 평가했다.[16]
반면, 《플래닛드림캐스트》의 벤T는 일본 애니메이션 스타일과 뛰어난 캐릭터 디자인, 간단하면서도 중독성 있는 게임 플레이는 칭찬했지만, 지나치게 단순한 게임 플레이와 당시 드림캐스트로 출시된 다른 게임들에 비해 그래픽이 실망스럽다고 비판했다.[15]
《게임프로》의 킬로 와트는 "로봇 격투의 정점은 아니므로 격투 게임 팬이나 캐주얼 게이머는 건너뛸 수도 있지만, 열렬한 메카 애니메이션 팬에게는 꿈에 그리던 게임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20] 《게임프로》의 제이크 더 스네이크는 "애니메이션 스타일 메카 배셔를 좋아하는 진지한 격투 게임 팬들에게는 어필하겠지만, 캐주얼 게이머와 메카 게임 팬들은 먼저 대여해 보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21]
6. 드림캐스트판
2000년 1월 13일에 발매된 드림캐스트판은 아케이드판과 동일한 대전 및 연승 모드를 탑재했으며, 스토리 모드의 극중 대사가 모두 풀 보이스화되었다. 아케이드판은 가동 시간이 일정 시간을 초과하면 플레이어가 사용할 수 있는 로봇이 추가되는 타임 릴리스 방식이었지만, 드림캐스트판은 대전 모드에서 일정 성적을 거두어 얻은 자금(포인트)을 사용하여 획득하는 방식이었다. 또한 새로운 기체 2기가 추가되었으며, 그 외에도 주제가의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클립과 가라오케, 설정 자료집 등이 수록되었고, 비주얼 메모리용 미니 게임도 수록되었다 (이것들도 포인트로 해금). 드림캐스트판 초회 생산 특전으로 키카이오의 종이 모형 (페이퍼 크래프트)이 부속되었다.
2001년 1월 18일에는 드림캐스트판의 바리에이션으로, 전화 회선에 의한 대전 서비스 "Matching Service"에 대응한 버전 ('''초강전기 키카이오 for Matching Service''', 이하 MS판)이 드림캐스트 다이렉트 (후의 세가 다이렉트)의 통신 판매 전용 소프트로 발매되었다. MS판은 네트워크 대전 모드 (2003년 9월 1일에 서비스 종료)와, 사운드 박스에 미야우치 타카유키가 부른 신곡 2곡이 추가되었으며, 일부 기술에 밸런스 조정 (딕센의 8방향 부스트 부활, 고우라이 일부 콤보 삭제 등)이 가해졌다. 이 외에도 처음부터 애니메이션 박스가 해금되었지만, 일러스트 박스에서 투고 일러스트는 삭제되었다. 기본적인 게임 내용은 통상판과 변경이 없으며, 세이브 데이터도 공통이다.
주제가에 관해서, 드림캐스트판은 포켓몬 쇼크 이후의 애니메이션 방송 관례에 따라, 도입부에 "TV를 시청할 때는 방을 밝게 하고 떨어져서 봐주세요."라는 텔롭이 추가되었다.
7. 관련 상품
주제가를 수록한 CD는 2종류가 있으며, 첫 번째는 아케이드판 가동 직전 도쿄 게임 쇼 물품 판매 부스 등에서 3000장 한정 판매된 것으로, 오프닝만을 수록했다. 두 번째는 드림캐스트판 발매에 맞춰 애니메이션 파트에 사용된 리뉴얼판 오프닝과 엔딩을 수록하고 있다.[1]
'''초강전기 키카이오 오리지널 사운드트랙'''은 셀퓨타 레이블에서 1998년 11월 21일에 발매되었다. 키카이오의 악곡부터 캐릭터 음성, 효과음 등 모든 음원을 수록한 2CD 사운드트랙으로, 게임에 사용된 오프닝은 여기서만 들을 수 있다. 초회판은 트랙 번호에 오류가 있어, 구매자에게는 무료로 수정판 용지가 배송되었다.[1]
'''초강전기 키카이오 드라마 앨범'''은 셀퓨타 레이블에서 1998년 12월 21일에 발매되었다. 이즈카 마유미가 메인 퍼스널리티를 맡았던 라디오 프로그램 『이즈카 마유미의 MEGA-TON 스마일』에서 1998년 11월 7일부터 4주 연속 방송된 라디오 드라마의 노컷 버전에, 보너스 트랙으로 『포린의 고민 상담실』이 수록되어 있다. 플레이어 캐릭터 파일럿(준페이, 레이카, 포린, 섀도 레드)은 오리지널 캐스트이지만, 일부 서브 캐릭터는 변경되었다.[1]
스토리 내용은 게임을 기반으로 한 오리지널로, 게임에서의 키카이오 편 설정(준페이가 토도로부터 키카이오를 물려받아 골디버스 군단과 싸운다)을 중심으로, 보론 편의 설정(포린이 준페이를 약혼자라고 칭하며 찾아온다)이나, 디아나 17 편의 설정(아마미야 레이카가 골디버스 군단을 쓰러뜨리기 위해 키카이오를 동료로 만들려고 한다)을 조합한 듯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이야기는 "유메노 소라가 꾸는 꿈"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소라는 내레이션적인 입장의 천상의 목소리로 등장한다.[1]
참조
[1]
서적
アーケードTVゲームリスト国内•海外編(1971–2005)
https://archive.org/[...]
Amusement News Agency
2006-10-13
[2]
웹사이트
Tech Romancer Ships
https://www.ign.com/[...]
Ziff Davis
2023-10-19
[3]
웹사이트
Tech Romancer for Dreamcast
https://www.gamerank[...]
CBS Interactive
2022-05-16
[4]
웹사이트
Tech Romancer (DC) - Review
http://www.allgame.c[...]
All Media Network
2019-09-06
[5]
웹사이트
Tech Romancer
http://www.gamecente[...]
CNET
2022-05-16
[6]
간행물
Tech Romancer (DC)
https://retrocdn.net[...]
Ziff Davis
2023-10-19
[7]
웹사이트
Tech Romancer (DC)
http://www.elecplay.[...]
Greedy Productions Ltd.
2023-10-19
[8]
웹사이트
Tech Romancer (DC)
https://www.eurogame[...]
Gamer Network
2022-05-16
[9]
간행물
超鋼戦紀キカイオー [ドリームキャスト]
https://www.famitsu.[...]
Enterbrain
2023-10-19
[10]
간행물
Tech Romancer
FuncoLand
2000-08
[11]
간행물
Tech Romancer [Import]
https://archive.org/[...]
Shinno Media
2022-05-16
[12]
웹사이트
REVIEW for Tech Romancer (DC)
http://www.gamefan.c[...]
Shinno Media
2019-09-06
[13]
웹사이트
Tech Romancer Review
https://www.gamerevo[...]
CraveOnline
2019-09-06
[14]
웹사이트
Tech Romancer Review [Import; date mislabeled as "May 5, 2000"]
https://www.gamespot[...]
Fandom (website)
2023-10-19
[15]
웹사이트
Tech Romancer
http://www.planetdre[...]
IGN Entertainment
2019-09-06
[16]
웹사이트
Kikaioh (Import . . . Tech Romancer)
https://www.ign.com/[...]
Ziff Davis
2023-10-19
[17]
웹사이트
Tech Romancer
https://www.ign.com/[...]
Ziff Davis
2023-10-19
[18]
간행물
Tech Romancer (DC)
https://archive.org/[...]
Imagine Media
2022-05-16
[19]
간행물
Game Machine's Best Hit Games 25
https://onitama.tv/g[...]
Amusement Press, Inc.
2023-10-19
[20]
간행물
Tech Romancer Review for Dreamcast on GamePro.com
http://www.gamepro.c[...]
IDG
2023-10-19
[21]
간행물
Tech Romancer
https://retrocdn.net[...]
IDG
2023-10-19
[22]
뉴스
タイプが異なるキャラ8体のロボットが対戦「超鋼戦紀キカイオー」
https://onitama.tv/g[...]
2024-02-06
[23]
뉴스
36th Amusement Machine Show
https://onitama.tv/g[...]
2024-02-06
[24]
문서
[25]
문서
[26]
웹사이트
超鋼戦紀キカイオー公式サイト・轟ジュンペイ
https://web.archive.[...]
[27]
웹사이트
超鋼戦紀キカイオー公式サイト・ナカト・ファーランド
https://web.archive.[...]
[28]
웹사이트
超鋼戦紀キカイオー公式サイト・ポリンちゃん
https://web.archive.[...]
[29]
웹인용
Tech Romancer for Dreamcast
https://www.gamerank[...]
CBS Interactive
2019-09-06
[30]
웹인용
Tech Romancer (DC) - Review
http://www.allgame.c[...]
All Media Network
2019-09-06
[31]
간행물
Tech Romancer
Ziff Davis
[32]
웹인용
Tech Romancer
https://www.eurogame[...]
Gamer Network
2019-09-06
[33]
웹인용
超鋼戦紀キカイオー [ドリームキャスト]
https://www.famitsu.[...]
Enterbrain
2019-09-06
[34]
간행물
Tech Romancer
FuncoLand
2000-07
[35]
웹인용
Tech Romancer Review
https://www.gamerevo[...]
CraveOnline
2019-09-06
[36]
웹인용
REVIEW for Tech Romancer (DC)
http://www.gamefan.c[...]
Shinno Media
2000-06-01
[37]
웹인용
Tech Romancer Review for Dreamcast on GamePro.com
http://www.gamepro.c[...]
International Data Group
2000-06-30
[38]
웹인용
Tech Romancer Review [Import; date mislabeled as "May 5, 2000"]
https://www.gamespot[...]
CBS Interactive
2000-01-20
[39]
웹인용
Tech Romancer
http://www.planetdre[...]
IGN Entertainment
2000-06-20
[40]
웹인용
Kikaioh (Import . . . Tech Romancer)
https://www.ign.com/[...]
Ziff Davis
2000-01-21
[41]
웹인용
Tech Romancer
https://www.ign.com/[...]
Ziff Davis
2000-06-19
[42]
잡지
Finals
Future US
200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